대한민국의 육아 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은 조부모 육아. 맞벌이 부부들로 인해 조부모 육아는 늘고 있지만 그에 따른 트러블에 대한 해결책도 필요한 때인데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조부모 육아 시, 참고해야 할 내용과 실천 방법을 보면서 조부모나 부모 모두 함께 행복한 공동육아 만들어보아요. ^^ ♥조부모와 지혜로운 공동육아법 ① 함께 아이의 습관목록을 만들자. ② 조부모에게 의견을 묻고 구체적 실천방안을 세우자. ③ 아이와 엄마가 약속표를 만들고 할머니와 공유하자. ④ 훈육은 1:1로! 옆에서 거들거나 훈수는 금물. 자리를 피해주세요. ♥지혜로운 엄마 대화법 ①온 가족 앞에서 양육자인 조부모를 칭찬하세요! ②부탁하는 말은, 단 둘이 최대한 정중하게! ③반복해서 부탁 드릴 땐, 현재형으로 말씀 드리기! ♥양육..
15년차 현직 교사의 아동교육 로드맵 『아이의 미래 초등교육이 전부다』를 통해 알아본 최적의 영어 환경을 소개합니다. ^^ ① 우리 말 발달이 최우선 너무 빨리 우리말과 외국어를 함께 사용하면 언어 체계 습득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문법 습득에도 혼동이 올 수 있지요. 아이마다 언어 습득 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말 습득 능력이 빠르다면 영어를 습득하는 능력 또한 대체로 빠릅니다. 그래서 영어를 가르칠 때도 우리말 듣기와 말하기, 읽기를 우선으로 둬야 합니다. 우리말 어휘와 이해력을 바탕으로 영어 능력도 키우세요. 꾸준하고 풍부한 우리말 듣기, 말하기와 책 읽기 경험을 통해 배경 지식을 넓히고 어휘와 이해 능력을 키우는 것이 우선입니다. ② 아이의 수준과 능력을 고려하라 재미있다는 챕터북이나 해..
아이와 어떻게 놀아줘야 할지 몰라 난감한 아빠들. 과거와 달리 친구처럼 잘 지내는 아빠들도 많고 엄마보다 더 아이를 이해해주고 육아를 잘하는 아빠들이 많아 괜히 위축되신다면 주목해 주세요. ^^ ①귀차니즘 아빠로 기억되고 싶지 않다면 첫 번째 키워드는 ‘귀차니즘’ 입니다. 아빠들은 직장 일에 시달리고 나면 주말에는 쉬고 싶어집니다. 또 육아를 자신의 일이 아닌 엄마들의 영역으로 치부하기도 합니다. 무언가를 배우려 할 때 내 일이 아니라고 여기면 관심도 안 가고 소홀해 지기 쉽겠죠? 한번 생각해 보세요. 육아란 누구를 위해서 시간을 들이는 걸까요? 또 나는 왜 그렇게 힘들게 일을 하고 있는 걸까요? 아빠들도 모두 알고 있습니다. 가족의 행복이 중요함을. 현재 내가 일에만 몰두할 때 아이는 나와 가질 수 있..
예비 중1로 올라가는 자녀가 있다면… 초등학교 때와 다르게 달라지는 부분은 무엇인지 미리 아이가 준비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지 궁금하실 텐데요. 궁금증을 해결해 드릴게요. ♥학교 생활, 이렇게 달라져요! ①등교시간이 빨라져요. ② 수업시간이 45분으로 늘어나요. ③ 교복을 입어요. ④ 담임선생님은 조, 종례 시간과 수업 시간 이외에는 교무실에 머물러요. ⑤ 시간관리나 물건을 스스로 챙겨야 해요. ⑥ 학교 행사나 대회 소식 등을 누가 따로 챙겨주지 않아, 아이가 스스로 정보를 알아둘 수 있게 해야 해요. ⑦ 교과목 수가 많이 늘어나고, 과목마다 선생님이 달라져요. ⑧ 중학교 1학년에는 자유학기제가 시행돼요. ⑨ 친구들과 함께하는 팀프로젝트가 늘어나요. ⑩ 수행평가를 위해 글쓰기를 잘해야 하는 경우가 ..
아이는 스스로 변하는 힘까지 생깁니다. 이 때 마법의 말 30가지는 아이에게 너무나도 큰 힘이 된답니다. 저장해두시고 꼭 활용해보세요. ★실패를 성장으로 이끄는 ‘긍정의 말’ 아이에게 ‘마음의 에너지’를 가득 채워 주는 말★ ▶마법1. 아이가 실패했을 때 함께 해결책 찾기 “어떻게 하면 좋을까?” ▶마법2. “그것도 몰라?” 질책하는 마음의 벽 허물기 “같이 한번 생각해 볼까?” ▶마법3. 하기 싫은 일을 극복하는 용기와 자신감 심어주기 “못한다는 것을 안다는 게 중요한 거야!” ▶마법4. 실패의 원인을 아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같이 한번 살펴볼까?” ▶마법5. 자신의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하게 하기 “왜 못했을까?” ▶마법6. 싸운 친구를 배려하는 마음 키워 주기 “왜 싸우게 되었을까?” ..
내가 아이들에게 어떤 아빠(엄마)인지 아이와의 유대관계도 알아보고, 사이를 더 돈독하게 하는 대화법도 알아봅니다. ^^ 아이와의 대화, 이것만 기억하세요! 아이가 하는 말이 쓸데없고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더라도 열심히 들어주는 시간을 가져요. 잘못을 지적하고 해결방법을 알려주는 것은 금물! 이야기만 잘 들어줘도 아이들은 어른이 자기 자신을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것처럼 느껴요~ 사랑이 듬뿍 담긴 시선으로 아이를 응시하면서 상체를 아이 쪽으로 약간 기울이면서 대화를 하면 좋아요. 그리고 아이가 말할 때마다 아이의 말을 인정한다는 의미로 고개를 끄덕이면서 들으면 효과 만점! 상체를 뒤로 젖히거나 시선을 외면하는 등의 태도는 아이에게 거부당한다거나 무시당하고 있다는 기분을 줄 수 있어요. 아이의 마음에 공감하는 의미..
낯설게 느껴지던 '인문학' 이라는 단어가 어느새 우리에게 익숙졌습니다. 어른부터 아이까지 인문학 열풍이 뜨거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문학을 통해 세상을 살아가는 통찰력을 기르고 싶어서가 아닐까요? '통찰'은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반추하여 그 의미를 꿰뚫어보고 그것을 자기 삶에 적용하고 성찰함으로써 생기는 체험, 일종의 깨달음입니다. 인문학을 통해 우리가 얻고 싶은 것, 통찰력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양 -세부적인 사항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종합적으로 문제를 조망해보는 사고력 -미래를 예측하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비전이나 희망을 제시 우리 아이가 갖추었으면 하는 능력, 바로 문제해결 능력이 통찰력입니다. 통찰은 이해와 공감 자기가 믿고 있는, 지각하고 있는 인식의 세계를 넓..